광주G-패스는 2025년 1월부터 시행되는 광주광역시의 새로운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으로,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고,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.
광주 시민에게 맞춤형 대중교통비 지원을 제공하여,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좀 더 싸게 이용할 수 있는데요, 지금부터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광주G-패스란?
광주G-패스를 통해 다양한 연령대와 사회적 배경을 고려한 지원을 제공합니다. 지원 대상은 어린이, 청소년, 청년, 성인, 어르신, 저소득층, 다자녀 가정까지 폭넓으며, 각 대상에게 맞는 지원을 통해 교통비 부담을 줄여줍니다.
할인 및 환급 혜택
- 어린이: 100% 할인
- 청소년: 50% 할인
- 청년(19세~39세): 30% 환급
- 성인(40세~64세): 20% 환급
- 어르신(65세 이상): 50% 환급
- 저소득층(차상위, 기초수급자): 64% 환급
- 다자녀 가정(2자녀 이상): 30%~50% 환급
지원 개요
1. 시행 시기 및 대상
- 시행 시기: 2025년 1월 1일부터
- 지원 대상 교통수단: 광주광역시 내 도시철도, 시내버스(좌석버스 포함), 마을버스
- 지원 대상 제외: 광주 외 지역(나주, 담양, 화순, 함평, 장성)에서 운영되는 농어촌버스
2. 지원 조건
- 어린이, 청소년: 기존 교통카드 사용 시 즉시 할인
- 성인: K-패스 카드 등록 후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환급 혜택 제공 (일 최대 2회 인정)
- 카드 사용 제한: 1인 1카드 사용, 여러 명이 같은 카드를 사용할 경우 한 명만 지원
3. 지원 내용
광주G-패스는 즉시 할인과 다음달 환급으로 나뉘며, 각 연령대와 계층에 맞는 지원이 제공됩니다. 예를 들어, 어린이와 청소년은 즉시 할인 혜택을 받으며, 성인과 다른 대상을 위한 환급은 익월에 이루어집니다.
구분 | 어린이 | 청소년 | 청년 | 일반(성인) | 어르신 | 저소득 | 다자녀 부모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할인/환급 | 100% 할인 | 50% 할인 | 30% 환급 | 20% 환급 | 50% 환급 | 64% 환급 | 30~50% 환급 |
예시 (시내버스 요금 기준)
- 어린이: 400원 → 0원 (즉시 할인)
- 청소년: 800원 → 400원 (50% 할인)
- 청년(19~39세): 1,250원 → 875원 (K-패스 환급 375원 + 광주G-패스 400원)
이용 안내
1. 어린이 및 청소년
- 기존에 어린이용, 청소년용 교통카드를 보유한 경우 별다른 등록 절차 없이 기존 카드로 바로 할인 혜택을 받습니다. 교통카드를 새로 구입한 경우 생년월일을 등록하여 할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- 어린이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접촉 시 100% 할인 (0원 처리)
- 청소년은 50% 할인
2. 성인
-
- 19세 이상의 성인은 K-패스를 사용하여 광주G-패스의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K-패스 카드 발급 후,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익월에 환급 혜택이 제공됩니다.
- 환급 대상은 청년(30%), 성인(20%), 어르신(50%), 저소득층(64%), 다자녀 부모(30~50%)
광주G-패스 카드 출시
1. 카드 종류 및 가격
- 카드 종류: 선불카드
- 가격: 3,000원 (연회비 없음)
- 특징: 어린이, 청소년, 성인(K-패스) 통합 카드
- 발행사: 이즐(ezl)
2. 구입처
- 광주광역시청 직원복지 매장, 도시철도 8개 역 (예: 학동증심사, 남광주, 금남로4가 등)
- 세븐일레븐, 이마트24 일부 매장에서도 판매됩니다.
결론
광주G-패스는 2025년 1월부터 시행되는 획기적인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으로, 광주 시민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, 교통비 부담을 줄여줍니다. 다양한 연령대와 계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특징이며,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,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.
1. 광주G-패스 카드를 반드시 구입해야만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?
광주G-패스 카드가 아니더라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어린이와 청소년은 기존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성인의 경우 K-패스를 통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. K-패스 카드가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K-패스 카드를 발급받고,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 가입 후 등록을 진행하면 됩니다. 등록 후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